사진은 중국 해커 이미지./미 다크리딩

일본 외무성이 해외 공관과 기밀 전문(電文)을 주고받는 보안 전산망이 지난 2020년 중국 해커의 사이버 공격에 뚫려 대규모의 극비 외교 정보가 유출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일본 정부는 해킹된 사실을 모르다가 미국 국가안보국(NSA)에서 이런 사실을 통보받고 부랴부랴 대응에 나섰다.

5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020년 외무성과 해외 대사관·영사관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전산망이 중국에 의해 해킹됐었다고 보도했다. 이 전산망은 일본 외교관이 해외에서 얻은 극비 정보를 국내로 전달하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망을 사용하지 않고, ‘국제 IPVPN(인터넷 프로토콜 가상 사설망)’이라는 별도의 보안망을 사용한다. 특수 암호 처리와 전송 기술로 보안을 강화한 것이다.

요미우리신문은 “당시 유출된 기밀 정보의 내용은 불확실하지만, 베이징에 있는 일본 대사관과 외무성이 주고받은 전문과 공문서 상당수를 중국 당국 측이 입수해 읽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다른 해외 대사관·영사관도 유사한 해킹 피해를 봤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당시 중국의 해킹을 파악한 미국은 일본에 폴 나카소네 NSA 국장 등을 급파해 긴급 회의를 가졌다. 이 신문은 “공문서 중에서도 특히 비밀 보호가 중요한 외교 전문 시스템이 뚫리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며 “미국에서 해킹에 취약한 일본 정부와 기밀 정보를 공유하는 데 대한 우려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당시 사건을 계기로 일본 정부는 외무성을 포함해 방위성·경찰청·공안조사청·내각정보조사실 등 기밀 정보를 다루는 주요 부처의 시스템을 전부 점검하고 취약성이 드러난 프로그램을 개선했다. 일본은 미국과 시스템 개선 상황을 공유했으며, 미국 측은 지속적인 점검과 보안 강화를 요구했다고 한다. 앞서 지난해 8월 미 워싱턴포스트(WP)는 2020년 말 일본 정부의 기밀 안보 정보망이 중국 해커들의 공격을 받아 다량의 정보가 무차별로 노출됐다고 보도했지만, 당시 외교 전문 시스템이 뚫린 사실은 이번에 처음 알려졌다.

일본 정부에 대한 중국의 해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1년에는 중국 정부를 대리하는 해커 집단을 포함한 최소 2개 해커 집단이 미국과 일본 국방 기업, 연구 기관을 해킹했다는 의혹이 사이버 보안 업체에 의해 제기됐다. 지난해 11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내부 네트워크에 부정 접속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일본 정부가 밝힌 사건에 대해서도 일각에서 배후로 중국 등을 지목했다. JAXA는 미국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에도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