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在日) 한국인들이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판결금을 지급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에 기부하는 운동을 벌인다.

정부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 최종안을 발표한 6일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관계자가 출입하고 있다. 2023.3.6/뉴스1

재일교포 2세 김덕길(77) 가네다홀딩스 회장은 10일 도쿄 나가타초에서 본지와 만나 “일본에 사는 교포들과 뉴커머(신정주자·新定住者) 10여 명이 재단 기부에 동참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기부 취지에 동의하는 교포들이 더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에서 재일교포를 대표하는 단체인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의 여건이 단장도 개인 자격으로 기부 운동에 동참한다. 이날 도쿄 미나토구 민단 본부에서 만난 여 단장은 “민단은 한국 정부에서 일부 지원금을 받는 조직인 만큼, 직접 기부에는 참여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자발적인 민간의 기부 운동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기부 참여자들은 오는 17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재일교포들이 기부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 김 회장은 “일본에 사는 교포들은 한일 양국 관계가 악화하면 삶이 힘들어진다”며 “(징용 배상 해법 발표 이후) 한일 관계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는데, 한국 TV를 보고 반대 여론이 거세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작은 일이라도 해야겠다는 말을 하는 교포 지인들이 꽤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