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항공모함 전단이 시진핑 국가주석 지시로 일본 난세이제도를 공격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한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난세이제도는 일본 규슈와 대만 사이를 연결하듯 늘어선 군도로, 끝단에 있는 요나구니섬은 대만과의 거리가 110㎞에 불과하다. 일본은 대만 유사시를 대비해 이곳에 중장거리 미사일 배치와 자위대 호위함 접안용 항만 등 군사 시설의 대폭 증강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항모의 훈련은 이런 일본에 대한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항공모함 랴오닝함과 구축함 3척, 프리깃함 1척, 고속전투지원함 1척 등 총 6척으로 구성된 항모 전단이 난세이제도 남쪽 해상에서 오는 26일까지 군사 훈련을 실시한다고 보도했다. 중국 항모 전단은 일본 정부가 자위대의 반격능력(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를 공개 선언한 지난 16일 오키나와 인근 해역을 지나 태평양으로 남하하는 무력시위를 벌인 뒤, 곧바로 난세이제도 남쪽에서 이동해 군사훈련을 시작했다. 이 신문은 “시 주석이 일본의 3대 안보문서 각의 의결에 맞춰 중국 항모 전단의 동계 훈련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방위성은 “16~20일까지 중국 항모 전단에서 함재기와 함재 헬기가 약 130회의 이착륙 훈련을 진행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중국 항모에서 발진한 함재기는 현재 훈련 장소에서 5~10분이면 난세이제도까지 비행 가능하다. 또 이번 훈련에는 육지의 미사일 기지를 공격할 수 있는 함대지 미사일을 탑재한 구축함도 참가하고 있다.

한편, 항모 전단 훈련과는 별개로 대만 동남쪽 해상에서 전략폭격기로 대만을 협공 하는 훈련도 진행하고 있다. 또 중국 본토 저장성 앞바다에서는 러시아 해군과 함께 대잠수함 훈련과 해상 봉쇄 합동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지난 16일 3대 안보문서를 의결하고, 난세이제도의 요나구니섬과 이시가카·미야코섬의 활주로를 확장해 자위대 F-35 전투기가 이착륙하는 군사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