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일본 아사히신문이 ‘을미사변에 가담한 일본 외교관이 친구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가 새로 발견됐다’고 보도하며 공개한 사진./아사히 신문 전자판 캡처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가담한 당시 일본 외교관이 고향 친구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가 발견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은 을미사변의 자세한 경위를 밝힐 가치 있는 자료”라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을미사변 당시 조선 일본영사관의 영사관보(補)였던 호리구치 구마이치(堀口九萬一)가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 8통이 최근 새로 발견됐다. 을미사변은 1895년 10월 8일 육군 출신 미우라 고로(三浦梧櫻) 당시 공사의 주도 아래 일본 군인, 외교관, 민간인 등이 경복궁을 기습해 명성황후를 시해한 사건이다. 호리구치는 을미사변에 가담한 외교관 중 하나로, 사건 직후 정직 1년 처분을 받았다. 다만 일본 측은 흥선대원군이 일본영사관 산하 군과 민간 낭인들의 도움을 받아 주도한 사건이라는 입장이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편지는 1894년 11월 17일부터 을미사변 이후인 1895년 10월 17일까지 총 8차례에 걸쳐 발송됐다. 받는 사람은 자신의 고향 친구 다케이시 데이쇼(武石貞松)로 되어 있다. 사건 다음 날인 1895년 10월 9일 자 편지도 있다. 아사히는 “10월 9일 자 편지만이 다른 것들과 달리 봉인이 이중으로 되어 있다”며 “편지엔 사건 경위가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는 내용도 일부 공개했다. 9일 자 편지엔 ‘진입은 내가 담당했다. 담을 넘어 (중략) 간신히 내전(왕비의 거처)에 도달해 왕비를 시해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어 ‘생각 외로 간단해 도리어 너무 놀랐다’는 개인적인 생각도 적혀 있었다고 한다.

해당 편지는 일본 나고야시에 사는 미국계 일본인 스티브 하세가와(長谷川·77)가 골동품 시장에서 발견했다. 붓으로 흘려 쓴 글씨는 저작 ‘조선 왕비 살해와 일본인’을 통해 히로시마 대본영의 을미사변 관여를 주장한 재일 사학자 김문자씨가 판독했다. 김씨는 “추가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고향 친구에게 보낸 것인 만큼 신뢰도가 높다고 본다”며 “현역 외교관이 부임지 왕비 살해에 직접 관여했다고 밝히는 내용에 새삼 놀랐다”고 아사히에 말했다.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는 해당 보도에 대해 “그간 일본은 을미사변은 대원군이 주도하고 일본 낭인 등 민간인이 도움을 준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해왔다”며 “현직 외교관이 현장까지 동행해 당일의 경위를 기록한 서한은 을미사변에 일본이 국가 차원에서 개입했음을 뒷받침할 증거가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