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연합뉴스

아스파탐, 스테비아와 같은 인공감미료가 장기적으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지 않고 당뇨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가 나왔다.

WHO는 15일(현지 시각) 발표한 비당류감미료(NSS)에 대한 새 지침에서 체지방을 줄이거나 비전염성 질병의 위험을 줄이는 목적으로 NSS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NSS에는 아세설팜 K, 아스파탐, 어드밴타임, 사이클라메이크, 네오탐, 사카린,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이 포함된다.

WHO는 과학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NSS는 장기적인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면 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며 조기 사망의 위험도 증가시킨다고 판단했다.

프란체스코 브란카 WHO 영양·식품 안전국장은 “유리당을 NSS로 대체하는 게 장기적으로는 체중조절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유리당은 과일이나 벌꿀 등에 있는 천연 당분처럼 다른 성분과 결합하지 않고 분자 상태로 존재하는 당을 의미한다. 브란카 국장에 따르면 유리당 섭취를 줄이거나 무가당 식품을 선택하는 등 방식으로 체중 조절을 해야 한다. 그는 “NSS는 필수 식이 요소가 아니고 영양가도 없다”며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선 어릴 때부터 식단의 단맛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권고는 이미 당뇨가 있는 사람을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적용됐다. 다만 WHO는 연구 참가자들의 기본 특성과 NSS 사용의 복잡한 패턴 때문에 NSS와 질병과의 연관성을 완전히 확신할 수는 없다며 이번 권고는 일단 잠정적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니타 퍼로히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학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권고가 잠정적 성격임을 고려할 때 각 국가에서 실질적인 논의를 한 후 그에 맞는 정책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NSS가 단기적으로는 열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증거가 있다”며 “따라서 NSS를 사용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체중조절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