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튀르키예 하타이주 안타키아 지진 피해지역에서 군인들이 순찰을 돌고 있다./EPA 연합뉴스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에서 생존자 수색 등 구호 활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사람이 혼란한 상황을 틈타 약탈과 총격전 등 범죄를 벌여 구호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1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튀르키예 수사 당국은 무너진 건물에 들어가 물건을 약탈하거나 통신사 직원을 사칭해 지진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돈을 요구하는 등 갈취를 시도한 48명을 이날 피해 지역 8곳에서 체포했다. 경찰은 이들로부터 현금과 휴대전화, 노트북, 보석, 총기 등을 압수했다. 용의자 중엔 식료품과 유아용품 등 필요한 물건을 급하게 훔치려 한 이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총격 사건이 발생해 구조 작업이 중단되는 일도 발생했다. 이날 하타이에 투입됐다가 안전 문제를 이유로 활동을 멈춘 독일 국제수색구조대(ISAR) 관계자는 “물과 식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면서 지역 치안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튀르키예 남동부 샨르우르파 출신 한 구조대원은 “(하타이) 안타키아에서 수일간 도둑들을 목격했다”며 “이들 대부분이 칼과 같은 흉기를 들고 있어 (구조를 이어가기)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튀르키예 당국은 약탈 혐의를 받는 용의자의 법정 구금 기간을 기존 4일에서 7일로 늘리는 등 처벌을 강화하고 나섰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도 이날 피해 지역 중 하나인 동남부 디야르바크르를 방문, 현재 재난 지역들에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황임을 언급하면서 “약탈 등 범죄에 연루된 이들은 국가가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강진 이후 정부의 늑장 대응에 국민의 분노가 치솟는 가운데 튀르키예 당국은 지진으로 붕괴한 건물의 건설업자들을 대거 체포했다. 튀르키예 국영 아나돌루 통신은 “지진 피해를 입은 10개 주에서 건설업자 100여 명이 부실 공사 혐의로 구금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튀르키예 법무부가 지역 당국에 ‘지진 범죄 수사대’를 설치하라고 지시한 이후 이뤄진 조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