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7국) 정상회의의 둘째 날인 21일,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가 함께 걸어가고 있다. 중국은 G7 정상회의에서 자국을 견제하는 내용의 성명이 발표되자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중국이 7국(G7) 정상회의 폐막날 미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재를 공식화했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외신들은 21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이 마이크론 제품에서 상대적으로 심각한 사이버 보안 위험이 발견됐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중국 당국은 3월 말부터 마이크론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왔다.

중국 당국은 중요 정보 인프라 운영자들이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중국 당국의 정의에 따르면 중요 정보 인프라는 운송에서 금융에 이르는 분야가 포함된다”고 했다. 다만 중국은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회사 또는 사업에 적용될 것인지는 명시하지 않았다.

마이크론은 지난해 중국에서 4조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 회사 전체 매출의 1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마이크론이 중국에 제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될 경우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될 수 있다. 중국이 자국의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미국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마이크론은 “중국의 조사에 전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이번 제재는 미국의 대중 제재에 대한 보복 조치로 평가된다. 핵심 IT(정보기술) 업체가 대상인 데다 ‘보안 우려’라는 이유까지 미국의 2019년 화웨이·ZTE 제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특히 G7 정상회의에서 중국을 겨냥한 강도 높은 공동성명이 나왔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G7은 이날 공동성명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전방위로 압박했다. 중국이 자국의 ‘핵심 이익’이라고 주장하는 대만·홍콩·티베트·신장·남중국해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 의존도 또한 낮추겠다고 했다. 전날 성명에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난하며 대러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제3국은 러시아의 침략을 물적 지원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G7은 중국의 엄중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국 관련 의제를 제멋대로 다루고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으며, 중국 내정을 난폭하게 간섭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