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강 중국 외교부장이 양회 기간 중인 7일 기자회견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AP연합뉴스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장은 7일 베이징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충돌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날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회의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들이 중국에 대한 전방위적인 봉쇄·포위·억압을 자행해 중국 발전에 전례 없이 심각한 도전을 가져왔다”고 말한 다음날 친강이 또 다시 미국을 겨냥한 강도 높은 발언을 내놓은 것이다. 이날 친강의 기자회견은 양회(兩會)의 한 축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회의의 일부분이었다.

친강은 회견에서 ‘중미의 이해 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양국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중국은 미국 정부가 (중국) 위협 팽창에 대한 전략적 우려를 해소하고, 제로섬 게임 식의 냉전 사고를 폐기하길 바란다”면서 “미국이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계속해서 잘못된 길을 광적으로 따라가면, 아무리 많은 보호 펜스도 탈선과 전복을 막을 수 없고, 충돌과 대항 국면에 빠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충돌과 대항이란) 재앙과 같은 결과를 누가 책임질 수 있는가”라며 “미국의 억제와 탄압은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지 못하고, 중국이 부흥을 향해 나아가는 걸음 또한 막을 수 없다”고 했다.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해서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친강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은 자유·개방을 표방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패거리를 형성하고,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집단을 형성한다”면서 “지역 안보를 수호한다는 명목으로 대항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대만과 관련해서는 “대만 문제는 중국 핵심 이익 중에서도 핵심이고, 중미 관계 정치 기초 중에 기초”라면서 “누구도 중국의 국가 주권·영토를 지키고자 하는 결심과 의지, 강력한 능력을 과소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또 ”조국의 평화 통일 실현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는 동시에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선택지를 남겨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 편에 섰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중국은 위기를 조성한 당사자가 아니고, 충돌(전쟁)한 어느 한 편에도 무기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항변했다. 또 “일부 국가는 냉전과 동맹 구축의 필터로 중러 관계를 보지만 이는 스스로의 모습을 비춘 것”이라며 “중러 관계는 동맹을 맺지 않고, 대항하지 않으며, 제3국을 겨냥하지 않는 기초에서 구축됐고 세계 어느 국가에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유럽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국과 유럽은 양대 문명, 양대 시장, 양대 파워”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정세가 어떻게 흘러가든 중국은 언제나 유럽연합(EU)을 전면적 전략 파트너로 보고, 유럽 통합을 지지할 것”이라며 “중국과 유럽의 교류는 전적으로 서로의 전략적 이익에 기초해 독립적으로 선택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고난을 겪었으니 통정사통(痛定思痛·고통이 가라앉은 다음 고통의 교훈을 얻는다)하여 전략적 자주를 실현하길 바란다”는 말도 덧붙였다.

친강은 올해 주요 정상외교 일정으로는 처음으로 열리는 중국·중앙아시아 5국 정상회의와 제3차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국제협력 정상회의를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