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홍콩의 한 해안에서 시민들이 거리를 걷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홍콩의 중국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홍콩에서 중국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학교 설립이 처음으로 승인되고, 중국을 홍보하는 방송 편성이 의무화된다.

16일 홍콩 원후이보에 따르면 이날 홍콩 교육부는 중국 선전과 인접한 틴슈이와이 지역에 중국 교육 과정의 사립 초중고교 설립을 승인했다. 이 학교는 중국 본토의 12년 교육 과정을 그대로 따른다. 2026년 문을 열며 총 학생 수는 900명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홍콩에는 50여 곳의 국제학교가 한국을 비롯해 다양한 해외 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지만, 중국 교육 과정을 갖춘 학교가 설립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홍콩 교육부는 이번 결정에 대해 “홍콩에 거주하는 중국 본토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중국 교육 과정에 대한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라면서 “홍콩은 ‘웨강아오(粤港澳, 광둥·홍콩·마카오) 빅베이(big bay)’의 활기찬 발전과 중국 본토와의 인재 교류, 강력한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홍콩 현지 매체에 대한 통제도 강화되고 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정부는 전날 3개의 무료 TV 채널, 2개의 라디오 방송에 대해 매주 30분 이상 국가 정체성, 홍콩보안법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방송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홍콩에서 TV·라디오 방송국은 방송 승인을 얻고 6년이 지나면 추가 규정을 적용받게 되는데, 홍콩 당국이 이때를 이용해 중국 선전 강화 조항을 넣은 것이다.

홍콩 내 반중(反中) 활동을 감시·처벌하는 홍콩보안법이 지난 2020년 시행된 이후 홍콩의 중국 본토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반중 인사들은 공무원 임용·토지 입찰 등 사회 전 영역에서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 홍콩 교육부가 교사들에게 “홍콩 학생들이 중국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하는 가운데 2022학년도(2021년 9월~2022년 8월)엔 예년의 2배인 3000여 명의 초중고 교사가 교단을 떠났다. 홍콩인들의 ‘엑소더스’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16일 홍콩 정부는 지난해 말 기준 인구 수가 733만3200명으로 전년 대비 6만9900명 줄었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