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의 춘천 데이터 센터 전경. 삼성SDS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을 목표로 전사 역량을 관련 기술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 삼성SDS 제공

삼성SDS는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술력 확보에 회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SDS는 기업형 클라우드 플랫폼인 SCP(삼성 클라우드 플랫폼)를 구축하며 확보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전환 MSP(관리형 서비스 제공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단순히 IT 인프라 전환을 해주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초기 컨설팅부터 실제 운영까지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삼성SDS는 글로벌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와 협업해 고객사에 맞춤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삼성SDS는 단계별 실무교육을 통해 5000명 이상의 클라우드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난해엔 5000억원 이상을 클라우드 인프라와 기술 개발에 투자했다.

이를 위해 삼성SDS는 판교 IT 캠퍼스를 구축했다. 각 고객사에 흩어져 근무하던 2000여 삼성SDS 임직원이 판교 IT캠퍼스에 모여 클라우드 기반으로 IT 시스템을 통합 운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캠퍼스는 고객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고객사별 보안 정책에 따른 보안 체계, 안면 인식 출입 시스템, 지능형 영상 보안 관제 등 첨단 기술이 총집합됐다.

삼성SDS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클라우드 보안, 데이터분석, AI(인공지능) 등 다양한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인 SCP에서 제공하며 클라우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IT 시장조사 기관 IDC의 전 세계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부문에서 삼성SDS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주요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 조사에서 삼성SDS는 특히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 SCP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자 수준의 보안 역량까지 갖췄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삼성SDS는 미국·영국 등 60국 이상에서 보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SDS 측은 “회사가 갖춘 보안 진단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선호하는 고객사들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