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연합뉴스

미 의회에서 실리콘밸리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반독점법을 적극 검토하는 가운데, 그동안 몸을 사리며 공식 입장을 내지 않던 테크 기업들이 강한 어조의 말을 쏟아내며 반대 의사를 밝히고 있다.

애플은 18일(현지시각) 미 상원 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독점금지법은 아이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해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블룸버그 등이 보도했다. 현재 미 의회는 애플이 아이폰용 앱을 앱스토어에서만 다운받게 하고, 인앱 결제의 경우 최대 30%의 수수료를 받는 정책이 문제가 있다고 본다. 외부 다운로드와 결제를 자유롭게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애플은 “앱스토어에 올라오는 앱은 애플이 자체적으로 검증을 한 것들”이라며 “만약 사용자가 외부에서 앱을 자유롭게 다운로드 받게 허용할 경우 검증되지 않은 앱을 통해 사용자들을 향한 해킹 및 사이버 범죄가 급증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애플이 주요 수입원인 앱스토어를 지키기 위해 미 의회에 강하게 경고했다고 해석한다. 외부에서 앱을 다운받고 외부에서 앱 결제를 허용할 경우 현재 애플이 15~30%를 받는 수수료 수익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애플은 작년 한 해 최대 30조원에 달하는 수수료를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연합뉴스

애플뿐만이 아니다. 구글도 반독점법 추진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의회에서 추진 중인 반독점법에는 플랫폼 기업이 자사 서비스를 우선 제공하는 것을 막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구글이 구글맵 등을 우선 노출할 수가 없게 된다.

구글의 켄트 워커 최고법률책임자는 “현재 의회에서 논의 중인 법안은 인기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중단시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미국의 경쟁력을 손상시킬 수 있다”며 “우리는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 업체의 반발에도 빅테크 기업을 향한 반독점법은 올해 내 의회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는 “미 의회가 오는 11월 미 중간선거가 있기 전 반독점법을 통과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