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테크기업 제재에 나서고 있는 미 트럼프 정부가 중국 인터넷 기업 텐센트의 최대 캐시카우(현금 창출원)인 게임 사업까지 겨냥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20일로 예정된 텐센트와 거래 금지를 담은 행정명령 발효를 코앞에 두고 이번에는 텐센트의 투자를 받은 미 게임 업체들에 개인 정보 보안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8일 “미국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가 에픽게임스·라이엇게임스 등 텐센트가 투자한 게임 업체들에 미국인의 개인 정보 처리와 관련한 데이터 보호 규약에 관한 질의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외국인투자위원회는 해외 자본의 미국 기업 인수와 관련 국가 안보 영향을 조사하는 기구다.

트럼프 정부는 텐센트의 최대 돈줄인 게임 사업을 조준함으로써 제재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텐센트는 전체 매출(66조원·지난해 기준) 가운데 게임 비율이 35%로 가장 많다. 텐센트의 모바일 메신저인 위챗은 대부분 사용자가 중국에 있지만, 게임은 해외 매출이 30%에 달한다. 텐센트는 현재 미국을 비롯 300개가 넘는 게임 업체에 투자하고 있다. 현지에선 “미 정부가 화웨이나 틱톡에 했던 것처럼 텐센트가 지분을 보유한 게임 업체의 미국인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텐센트에 미국 게임 기업 지분을 매각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텐센트 제재가 세부적으로 어떤 내용일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오는 20일로 예정된 미 정부의 행정명령 시행이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블룸버그통신은 “로렐 비엘러 미 연방법무부 판사가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너무 모호하기 때문에 미국 내 위챗 사용자들이 제기한 행정명령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승인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기업들이 텐센트와 거래를 못 하도록 했는데 거래 금지가 무엇이고, 일반 사용자들이 위챗을 쓰는 것도 처벌을 받는 것인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미 상무부는 조만간 미국 내 어떤 특정 거래가 금지되는지 등의 세부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