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가 올해초 선보인 마이데이터 서비스엔 업계 최대 수준인 210만명이 가입했다. /신한카드 제공

신한카드는 업계 최고의 빅데이터·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올해 초 ‘마이데이터(본인 신용정보관리업) 서비스’를 선보였다. 신한카드 마이데이터 가입 회원 수는 지난달 21일 기준 210만명으로 업계 최대 규모다. 신한카드 마이데이터는 흩어진 정보를 통합해 빠른 속도로 알려주고 개인에게 맞춘 콘텐츠 제공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종합 자산관리 플랫폼을 지향한다.

마이데이터 기반 통합 조회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경제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 서비스(모은돈, 빌린돈, 순자산 등)는 대표적인 맞춤형 콘텐츠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자산별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 전략을 짤 수 있다. 금융 캘린더를 통해선 지출, 입·출금, 정기 납부 등을 실수 없이 관리할 수 있는 일종의 가계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입·출금 조회를 한 후 오픈뱅킹을 활용해 이체까지 할 수 있는 이른바 ‘원스톱 뱅킹(one-stop banking)’을 구현한다. 금융정보 외에 비금융정보(경제 콘텐츠,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등)까지 제공하며 서비스 범위를 확장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빅데이터 분야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서 국민에게 다소 생소한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고 건전한 금융·데이터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 소개 및 활용 가이드 등 관련 콘텐츠를 제작 배포했다”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전략과 연계해 청소년 대상 금융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한카드는 디지털 전략을 위해 조직도 개편했다. 마이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전담 조직인 ‘플레이(PLAY) 본부’를 신설했다.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사업 기획, 자산 관리 서비스 기획·운영, 데이터 분석 및 기반시설 관리 등의 업무를 이 조직에서 수행한다. 금융 상품 추천 및 제휴, 신용 관리, 부동산·자동차 시세 정보 제공 등으로 발 빠르게 금융의 영역을 확장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생활과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는 목표로 소비자들이 생활 방식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