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후속인 ‘차세대 발사체(KSLV-Ⅲ)’를 개발하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9일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10년간(2023~2032년) 총 사업비 2조132억4000만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대형 위성 발사와 우주 탐사에 활용될 차세대 발사체는 개발 기간 동안 총 세 차례 발사될 예정이다. 우선 2030년 달 궤도 투입 성능 검증 위성을 발사해 성능을 확인하고, 2031년에는 달 착륙선 예비 모델을 발사해 우리나라 최초 달 착륙 임무 달성을 돕는다. 개발 기간 마지막 해인 2032년에는 달 착륙선 최종 모델을 발사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발사체 1단은 100t급 다단연소 사이클 방식 액체 엔진 5기로 총 추력 500t을 낼 것”이라고 했다. 이는 누리호(300t)보다 성능을 대폭 향상하는 것이다. 차세대 발사체 2단은 10t급 다단 연소 사이클 방식 액체 엔진 2기로 구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