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을 맞고 나타나는 경증 부작용은 대부분 부정적인 생각 때문에 발생하는 역플라시보 효과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Pixabay

코로나 백신을 맞고 나타나는 두통이나 피로 같은 가벼운 부작용은 대부분 백신 자체가 아니라 심리적 영향 탓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의 테드 캅추크 교수 연구진은 “코로나 백신을 맞은 사람들이 겪는 일반적인 부작용은 3분의 2 이상 역(逆) 플라세보 효과로 나타난다”고 18일(현지 시각) 국제 학술지 ‘미의사협회저널(JAMA) 네트워크 오픈’에 밝혔다.

플라세보(placebo) 효과는 설탕으로 만든 가짜약을 먹거나 식염수 주사를 맞고도 진짜 약이라는 믿음 때문에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대로 진짜 약을 처방해도 환자의 부정적인 생각 때문에 약효가 떨어지면 역플라세보 또는 노세보(nocebo) 효과라고 한다.

연구진은 미국의 코로나 백신 임상시험 12건에서 부작용을 호소한 4만5380명은 백신뿐 아니라 가짜 주사를 맞은 사람들도 포함됐음을 확인했다. 바로 역플라세보 효과다. 누가 진짜 백신을 맞는지 알리지 않았으므로 백신을 맞은 사람들이 밝힌 부작용도 같은 비율로 역플라세보 효과로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백신 1차 접종 후 나타나는 두통이나 피로 같은 전신 부작용은 76%가 역플라세보 효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접종의 부작용도 역플라세보 효과가 52%를 차지했다. 캅추크 교수는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백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줄어 접종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