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를 졸업하며 정해진 대로 의사의 길을 따라가는 것이 싫어서 들어선 기초과학자의 삶이 어느덧 46년이 됐습니다.”

23일 오전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신희섭(70)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사회성 뇌과학 그룹 단장의 퇴임식이 열렸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뇌 과학자로, 1974년부터 50년 가까이 기초과학 연구에 몰두해온 신 단장은 이날 연구 인생에 쉼표를 찍었다. 그는 “수많은 동료와 선후배 연구자들의 도움을 받으며 행복한 연구자의 길을 달려왔다”고 했다.

신희섭 단장은 “평생을 지향해온 '몰두하되 집착하지 않는다'를 이젠 실천할 수 있을 것 같다”고했다. /기초과학연구원

서울대 의대를 졸업했지만, 남들처럼 의사의 길을 걷지는 않았다. 미국 코넬대 의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으며 기초의학자로 진로를 바꿨다. 1991년 귀국한 이후론 30여 년 동안 뇌 과학을 탐구했다. 포스텍(포항공대)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 등을 지내며 2012년 7월 IBS의 첫 연구단장으로 선정돼 지금까지 연구단을 이끌어 왔다.

그는 뇌 과학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겼다. 스승도 없이 연구에 대한 열정만으로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갔다. 2000년대 초 사람 대신 생쥐를 이용한 뇌과학 연구 분야를 열었다. 기억·감정·공감 등 인지기능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국내에선 처음으로 이 연구에 유전학을 도입했다. 간질이나 운동마비 등 뇌신경 질환의 발병 원인을 유전자 수준에서 규명한 연구로 세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수면 중 뇌파를 조절해 학습 기억력을 2배 높인 연구와 공포 기억을 억제하는 뇌 회로를 규명한 연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법 등의 성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실린 그의 논문은 197편이 넘는다. 1987년 노벨상을 받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도네가와 스스무 교수가 신 단장이 먼저 통증 유전자를 찾아내자 아예 연구를 접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세계가 주목하는 성과를 내면서 호암상, 국민훈장 동백장,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등 과학상을 휩쓸었다. 2006년 과학기술부 1호 국가과학자에도 선정됐다.

신 단장은 퇴임하면서 후배 과학자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대학 졸업 후 연구자의 길로 들어설 때 내 인생을 오롯이 연구에 쏟아붓겠다는 생각을 했다”며 “이것이 내 인생을 드라이브해왔다”고 했다. 이어 “연구자의 길을 선택했으면 좀 미쳐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이 든다”며 “그렇지 않으면 이 길은 별로 재미없는 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IBS 단장직에선 퇴임했지만 그의 연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앞으로 IBS 명예 연구위원으로 남아 후학 양성과 남은 연구에 집중할 예정이다. 그는 “그동안 연구단에서 이룩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후배 연구자들이 더 깊이, 더 높게 나아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며 “산업계와 연계해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싶다. 글로벌 수준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형외과 의사인 황건 교수의 시 ‘흔적’을 읊으며 퇴임사를 마무리했다.

‘퍼지르고 앉으니 내 자리던데/ 일어나 둘러보면 흔적도 없어/ 앞을 보고 걸으니 내 길이던데/ 멈춰 돌아보면 자국도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