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시중금리 안정으로 이달 서울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가 13개월 만에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달 전국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가 지난달(81.5)보다 5.3포인트 상승한 86.8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조사는 전국 500여 건설사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건설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라는 뜻이다.

특히 서울은 지난달 78.0에서 이달 106.6으로 상승해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지수가 올랐다. 서울 주택 사업 경기 전망 지수가 100을 넘은 것은 작년 4월(123.9) 이후 13개월 만이다. 지수가 105 이상 115 미만일 경우 보합·상승 국면으로 구분된다. 115를 넘어서면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본다. 인천(66.6→80.0)과 경기(78.3→83.7)도 각각 13.4포인트와 5.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정부가 올해 초 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제외한 전역을 규제 지역에서 해제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을 비롯한 저금리 대출 상품을 출시하면서 실수요자들의 주택 매수 심리가 살아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면서 건설 경기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날까지 신고된 4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3000건으로, 2021년 8월(4065건)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이달 말까지 신고 기한이 남아있어 최종 거래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연구원은 “올해 초부터 전망지수가 전반적인 상승 추세로 전환됐지만, 전국 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넘지 못하고 있다”며 “주택 사업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