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제조사 LG에너지솔루션이 호주의 리튬 생산 업체와 대규모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권역 내 전기차 배터리 원료 공급망을 강화한다. 이번 계약으로 LG엔솔은 고성능 전기차 약 27만 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리튬 정광을 확보하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GM 미국 합작 1공장 얼티엄셀즈 전경./LG에너지솔루션

14일 LG엔솔은 호주 리튬 생산업체 WesCEF와 리튬 정광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리튬 정광은 리튬 광석을 가공해 농축한 고순도 광물이다. 이 광물은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의 원료로 사용된다. LG엔솔은 WesCEF로부터 올해 1년 동안 리튬 정광 8만5000t을 공급받는다. 수산화리튬 1만1000t에 해당하는 분량으로 한번 충전에 5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고성능 전기차 약 27만대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다. 양사는 향후 추가 공급 계약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WesCEF는 호주 10대 기업 중 하나인 Wesfarmers의 자회사다. WesCEF는 2019년 호주 서부 마운트홀랜드 광산 프로젝트에 투자했다. 이 회사는 세계 최대 리튬 생산 업체 중 하나인 칠레의 SQM과 합작해 광산 및 수산화리튬 생산 시설도 개발하고 있다.

LG엔솔은 앞서 WesCEF와 2025년부터 5년간 수산화리튬 5만t을 공급받는 계약도 체결했다. WesCEF의 수산화리튬은 전량 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양사는 미국 FTA 권역 내에서 원재료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LG엔솔 구매센터장 이강열 전무는 “글로벌 배터리 선도기업으로서 전 세계적 전동화 추세와 청정에너지 정책에 발맞춰 제품, 공급망 등 사업 전반에서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높일 예정”이라며 “WesCEF와 같이 잠재력이 큰 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쉽을 확대해 핵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나아가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배터리를 제조할 것”이라고 했다.

LG엔솔은 이전에도 호주 Green Technology Metals, 칠레 SQM, 호주 라이온타운 등과 리튬 관련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조선일보와 미디어DX가 공동 개발한 생성형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