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촬영한 전남 나주시에 있는 한국에너지공대 전경. 2단계 공사가 진행 중인 모습이다. /김영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에 대한 감사 결과, 총장 해임 건의를 비롯한 엄중 조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해당 감사는 지난 4월 국회에서 정부 차원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면서 4월24일부터 시행됐다.

산업부는 감사 결과 한전공대는 지난해 시행한 컨설팅 결과가 급여 인상과 법인카드 사용·관리 부적정, 허위 근무 등 대학 운영과 관련한 중요 사항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한전공대 이사회와 산업부에 보고하지 않았고, 후속조치도 단순 개선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전공대 감사는 이 같은 문제점이 드러난 즉시 이사회와 산업부에 보고하지 않았다”며 “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전 감사에 대해 비위 사실 자료를 공직 인사 관련 기관에 통보했다”고 했다.

한전공대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한전과 전력그룹사의 출연금에 예산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만큼, 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한전공대 측은 이사회와 산업부에 보고하지 않고 내부 결재만으로 13.8%에 이르는 급여 인상을 결정, 지난해 급여는 직원 1인당 300만~3500만원이 늘었다. 47명은 허위 근무 등으로 206건, 약 1700만원의 시간외 근무수당을 부당 수령했다.

법인카드 사용 및 관리 부적정 총 264건, 1억2600만원에 달했고, 업무추진비 집행·정산 부적정 사안도 28건이 적발됐다. 사업비로 사용해야 할 출연금 208억원을 기관운영비와 시설비로 사용한 경우도 지적됐다.

이밖에 임대인이 부담해야 할 임차 학생 기숙사 방수공사를 학교가 부담해 1000만원가량 손해를 입기도 했으며, 연구과제 수행과 관련이 적은 무선헤드폰, 신발건조기 등 범용성 비품을 구입한 내용도 적발됐다.

산업부는 한전 그룹사와 정부, 지자체 출연금으로 운영되는 한전공대에서 관리부실, 규정 위반, 기강 해이가 대거 발생했다는 점에서 엄중한 조치가 필요하다면서, 윤의준 총장에 대해 관리감독 미흡, 총장 개인 업무추진비 관리 부적정, 중요사항 이사회·산업부 업무보고 소홀 등의 책임을 물어 이사회에 해임을 건의했다. 윤 총장은 서울대 공대 교수 출신으로 2020년 7월부터 초대 총장 겸 대학설립추진위원장 맡아왔다.

이에 더해 기관 경고·주의 조치도 내려졌으며, 관련자 6명에 대한 징계와 주의·경고 83건도 요구했다. 부당하게 수령한 시간외 근무수당과 연구 목적에 맞지 않게 사용된 연구비 등 5900만원도 환수조치 하기로 했다.

올해 한전공대 예산 1986억원 가운데 자체 수입은 128억원에 그친다. 한전 전력그룹사 출연금은 1106억원에 이르고, 정부 출연금은 310억원, 지자체 출연금은 2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