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산에 필수적인 중간재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가 G7(주요 7국)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전체 중간재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중국의존도는 특히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3일 ‘우리나라 중간재 대외의존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우리나라 중간재 수입액 비중(총수입에서 중간재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50.2%로 영국(46.9%), 이탈리아(46.2%), 독일(44.1%), 프랑스(43.3%), 캐나다(43.0%), 일본(40.8%), 미국(38.3%) 등 G7 국가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2010년 일본·중국·미국·대만·독일 순이었던 5대 중간재 수입국이 2020년 중국·일본·미국·대만·베트남으로 변화한 가운데 전체 중간재 수입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21.0%에서 12.8%로 줄어든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19.4%에서 28.3%로 늘었다. 우리나라의 중국의존도는 일본(21.1%), 미국(13.3%), 캐나다(10.3%), 독일(8.0%), 이탈리아(7.3%), 영국(6.4%), 프랑스(5.2%)를 크게 웃돌았다.

경총 관계자는 “해외에서 중간재 생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높은 대외의존도와 중국의존도로 인해 국내 산업이 다른 경쟁국보다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미·중 무역갈등, 요소수 사태, 주요 도시 봉쇄조치와 같은 중국발(發) 리스크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