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이 7일 경북 포항에서 양극재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이 공장에선 양극재에 들어가는 니켈 함량을 끌어올린 하이니켈 양극재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국내외 공장을 합쳐 매년 27만5000t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이 7일 경북 포항의 양극재 공장 착공식에서 기념사를 밝히고 있다.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케미칼이 2900억원을 투자해 조성하는 포항 양극재 공장은 포항 영일만 4일반산업단지 내 12만㎡ 넓이의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다. 2024년에 가동을 시작하는 게 목표다. 초기에는 매년 3만t의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고, 추가 투자를 더해 2025년까지 매년 6만t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양극재 6만t은 고성능 전기차 60만대 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포항공장에선 니켈 함량이 높은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단입자 양극재’를 주로 생산할 예정이다. 여러 원료 중에서도 니켈 용량을 높여 배터리 용량을 극대화하고, 여러 원료를 하나의 입자구조로 결합해 강도와 열 안정성을 강화한 소재다. 현재 니켈 함량 수준을 90%까지 끌어올렸고, 올해 하반기에는 니켈 함량을 96%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포항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포스코케미칼은 2025년까지 전남 광양, 경북 구미 공장까지 합쳐 국내에서만 매년 16만t의 양극재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또 해외 주요 전기차 시장인 북미·중국·유럽·인도네시아에서도 총 11만5000t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하는 등, 2025년까지 국내외 투자를 통해 연 27만5000t의 글로벌 양극재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이날 착공식에는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재 국회의원, 김병욱 국회의원 등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포스코케미칼은 포스코그룹과 연계한 리튬과 니켈 등의 원료 확보부터 소재 양산 능력까지 독보적인 이차전지 소재 사업 밸류체인을 갖췄다”며 “이러한 경쟁력이 결집된 양극재 포항공장은 글로벌 시장과 대한민국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 배터리 소재 산업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