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 배출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한국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 15개 업종별 경제단체가 모인 한국산업연합포럼(KIAF)과 자동차산업연합회가 26일 개최한 포럼에서 정만기 KIAF 회장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28.4%를 차지하는 중국은 2060년 탄소 중립 선언을 했고, 14.6%를 차지하는 미국은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탄소 배출량의 1.8%만을 차지하는 우리가 이 국가들보다 앞서가는 감축 방침을 내놓는 것이 적절한지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산업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탄소 배출량을 40% 줄이려면 제조업 생산량의 44%와 일자리 130만개 감축이 불가피하다.

포럼에선 최근 국가기후환경회의에서 2035년이나 2040년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정책을 제안한 것과 관련, 최종 결정이 좀 더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전력 생산 설비와 전기차 부품 업체 육성 등 전기차 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운행 중인 자동차 2300만대가 모두 전기차로 전환되고 이 중 70%가 동시 충전을 한다고 해도 원전 102기 발전량에 해당하는 102GW 전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임재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50년 발전 부문의 탈(脫)탄소화를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비율을 총 발전량의 80% 수준까지 확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 모두 500조원 이상의 추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