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이 지난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2030년까지 정부가 관리하는 사과 계약재배를 3배로 늘리고, 사과의 미래 주산지로 꼽히는 강원도 5대 산지의 사과 재배 면적을 2배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기후변화로 치솟은 사과 가격이 전체 물가 상승으로 번지는 ‘애플플레이션(애플+인플레이션)’ 재발을 막겠다는 취지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과수 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해 봄철 냉해와 폭우와 병해충 등이 겹치며 사과 등 과일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내놓은 중·장기 대책이다.

정부는 지난해 4만9000톤 수준인 사과 계약재배 물량을 2030년 15만톤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계약재배는 정부가 농가와 직접 계약해 원하는 시기에 물량을 내놓을 수 있도록 하는 수급 관리 방안이다. 정부는 물량을 내놓는 시점은 물론이고, 장소와 용도까지 정부가 정할 수 있는 ‘지정 출하 방식’의 계약재배 물량은 최대 5만톤 운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대책엔 지구온난화로 사과 산지가 점차 북상하는 점을 고려해, 강원도를 새로운 사과 산지로 집중 육성하는 방안도 담겼다. 현재 931ha인 정선·양구·홍천·영월·평창군 등 강원도 5대 산지 재배 면적을 2000ha로 늘리고, 거점 APC(농산물 산지 유통센터)를 건립하는 방식이다.

더불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20ha 안팎 규모의 ‘스마트 과수원’ 특화 단지를 내년에 5곳, 2030년 60곳까지 조성하기로 했다. 스마트 과수원은 줄기(기둥)가 여러개인 다축형 사과나무 밭에 기계화를 도입한 곳으로, 기존 과수원보다 노동력을 30% 절감하고 생산성은 2~4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정부는 2030년까지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 시설 보급률을 지난해 1~16% 수준에서 30%로 높이기로 했다. 또 사과 유통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 도매시장을 통한 거래 비율을 15%까지 늘려나가기로 했다. 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향후 사과와 배 수입 시장이 열렸을 때 국산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부분까지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