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금융지주 회장들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지주회장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김주현 금융위원장,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손병환 농협금융지주 회장. /뉴시스

KB·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가 자금 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연말까지 95조원 규모의 자금을 시중에 풀기로 했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주재한 간담회에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회사채 매입을 비롯한 유동성 공급 확대로 73조원, 채권시장안정펀드 및 증권시장안정펀드 참여로 12조원, 각 금융지주 계열사 중에 자금난을 겪는 회사를 위한 자금 지원으로 10조원 등 총 95조원 규모의 시장 안정 자금을 공급하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지주별 지원 금액은 공개하기 어렵지만 엇비슷하다”고 말했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회사채·기업어음(CP)·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적극 매입해 돈이 돌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은행채 발행을 자제하고, 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계열사 중 자금난 우려가 있는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회사에 신용 공급을 늘려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윤종규 KB금융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손병환 NH농협금융 회장, 김광수 전국은행연합회장이 참석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일 자금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개최한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금융위 관계자로부터 보고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금융권이 자금 중개 기능을 통해 자금 시장의 원활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 “은행권으로 집중되는 자금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서 다시 순환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와 별도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증권사·여신전문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과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열어 자금 시장 경색을 풀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금 지원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복현 원장은 “금융 회사들이 일시적인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정상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에 나서달라”고 했다. 이 회의에는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진옥동 신한은행장을 비롯해 미래에셋대우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KB캐피탈, 하나캐피탈의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했다.

금융 당국은 지난달 23일 발표한 ‘50조원+알파(α)’ 규모의 시장 안정 자금 지원 조치 이후 레고랜드발(發) 자금 시장 경색이 다소 해소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 집계에 따르면, 지난주(10월 24~28일)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 투자자들이 장외 시장에서 순매수한 회사채는 총 1조117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회사채 매입량은 직전 주(10월 17∼21일) 1450억원과 비교하면 7.7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