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다 편의점이 먼저 발달한 일본에선 편의점이 유통 플랫폼을 넘어 사회 인프라로 발전하고 있다.

일본 편의점에선 공공요금 납부, 주민등록등본, 인감증명서 발급, 관광지와 공연 티켓 발매가 가능하고 일부 지자체에선 세금 납부도 할 수 있다. 경찰과 연계한 방범의 거점, 재난 재해 시 물자공급·구호의 거점으로 지정돼 공익적인 역할도 하고 있다.

일본 편의점은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인프라로서 가능성을 보여줬다. 지진 직후 편의점들은 전국 점포망을 활용해 지진이 강타한 도호쿠 지역에 상품 공급량을 늘리고, 이재민들에게 화장실과 온수를 제공했다. 성금 모금 창구 역할도 했다. 대지진 후 일본 정부는 일부 편의점을 재난 피난처 편의점으로 지정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으로 간주하고 지원책을 펴고 있다.

MZ세대에 주목하는 한국 편의점과 달리 초고령사회를 먼저 맞은 일본 편의점은 고령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개발했다. 일본 편의점은 트럭에 도시락, 반찬, 음료, 생활용품 등을 싣고 고령자가 모여 사는 외곽 지역을 오가는 이동식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동식 편의점은 상품만 파는 게 아니라 전구 교체, 상·하수도 점검, 대형 폐기물 처리와 같은 생활서비스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