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충격으로 지난 2~9월 8개월간 국내에서 월평균 72만개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용 유발 효과가 큰 제조업과 지식산업에서도 고용 충격이 가시화되면서 후유증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1일 낸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해 사라진 일자리는 3월 91만5000개, 9월 82만6000개 등 2~9월 평균 72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과거 취업자 수 증감 추이와 올해 고용 통계를 대조해 코로나의 영향을 추정한 것이다.

문제는 고용 파급 효과가 큰 교역산업 일자리 감소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교역산업은 첨단 제조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농림어업, 전통 제조업 등 교역이 가능한 상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부문이다. 교역산업 일자리가 늘거나 줄면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지역 서비스업 일자리도 영향을 받는다. 전통 제조업에서 일자리가 한 개 생기면 지역서비스업 일자리가 0.9개 창출되고, 첨단 제조업 또는 과학·기술 서비스업 일자리가 하나 늘면 지역 서비스업 일자리가 3.2개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 그만큼 ‘좋은 일자리’가 중요한데, 9월 사라진 전체 일자리 82만6000개 중 교역산업 일자리는 19만1000개로 23%에 달했다. 지난 4월엔 전체 일자리 감소분 108만4000개 중 교역산업 일자리가 10만4000개로 9.6%였다.

보고서는 제조업에서 9월까지 약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이 충격이 파급되면 향후 10년간 서비스업 일자리 약 16만개가 관련 제조업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대책도 고용 유발 효과가 큰 교역산업에 집중하고, 지역 서비스 일자리 정책은 취약 계층 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종관 연구위원은 “한국판 뉴딜도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고용승수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