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와 된장 등 콩으로 만든 식품을 꾸준히 먹은 사람은 위암 발생 위험이 크게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우경·강대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4∼2013년 도시 기반 역학 연구에 참여한 40~69세 13만9267명을 대상으로 평균 9.2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기간 위암이 발생한 767명과 그러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콩, 된장, 두부 등 섭취가 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그 결과 두부를 일주일에 2회 이상 먹은 남성은 두부를 거의 섭취하지 않은 남성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37% 낮았다. 두부 섭취량이 늘수록 위암 발생 위험은 낮아졌다. 다만 과체중이나 비만한 남성은 이런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콩으로 만든 식품이 위암 위험을 낮추는 건 항염증 및 항산화 기능을 하는 물질인 제니스테인과 이소플라본 효과로 분석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이 물질들은 점막의 세포 증식을 줄임은 물론 위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나트륨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진 된장의 효과는 발효 과정에서 몸에 좋은 생리 활성 물질이 생성됐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럽 영양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강대희 교수는 “콩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은 면역세포인 NK세포를 활성화해 면역 기능을 높이는 것은 물론 DNA 손상을 억제하고 DNA 복구 기능을 개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