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질환 통풍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최근 8년 새 3.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치료와 식이요법으로 관리가 가능한 질병인데, 통풍 관리가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통풍은 음식물 중 단백질에 포함된 퓨린이 분해되는 과정과 세포 사멸 과정에서 생성되는 요산이 몸에 쌓이면서 만성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한림대 의대 류마티스내과 김현아·손경민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통풍 환자의 병원 방문 추이를 조사 분석해 최근 국제 학술지 대한내과학회 영문학회지에 발표했다.

분석 결과, 통풍 환자 연간 유병률은 2010년 10만명당 2433명에서 2017년 3917명, 1.6배로 늘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약 9배 많았다. 통풍에 의한 급성 통증 발작 등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2010년 10만명당 6.28명에서 2017년 21명이 돼 3.3배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통풍 환자 외래 치료 증가율 1.7배보다 두 배 높은 수치다. 나이대로는 30대 환자 응급실 방문이 4.5배, 40대는 3.6배로 높아졌다. 젊은 통풍 환자 위주로 응급실 방문이 증가한 것이다.

김현아 교수는 “만성 질환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은 평소 질환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의료 제도를 통해 통풍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통풍 환자는 46만여 명이다. 김 교수는 “기본적 통풍 치료는 식이요법과 생활 습관 교정으로, 과음이나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 운동을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