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넷플릭스 ‘클라르크’

피해자인 인질이 가해자인 납치범에게 감화돼 동조하고 변호하는 심리 현상을 ‘스톡홀름 신드롬’이라 부른다. 이 용어의 기원은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 은행에서 벌어진 무장강도·인질 사건. 범죄 현장이 생중계되는 가운데, 주범인 클라르크 올로프손은 잘생긴 외모와 유머러스한 성격으로 순식간에 대중을 사로잡는다. 그에게 매혹된 인질들은 오히려 경찰에 맞서 범인들을 보호하려 한다.

클라르크. /넷플릭스

“난 강도예요. 여러분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죠. 지겨운 인생에서 자랑할 만한 이야기. 여러분은 클라르크 지금 올로프손과 함께 있어요.” 곧 도주할 은행 강도답지 않은 여유로운 표정과 말투의 클라르크가 줄을 섰던 여자에게 묻는다. “이 재미없는 사람들과 남을 거야. 아니면 몇 시간만 내서 클라르크 올로프손을 경험할래?” 여자는 그를 따라나선다.

/넷플릭스

클라르크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 범죄자의 자서전은 진실과 거짓이 뒤얽혀 있기 마련이다. 마돈나, 레이디 가가, 비욘세 등의 뮤직 비디오를 만들었던 감독 요나스 오켈룬드는 진지하게 진실을 좇기보다, 화려한 패션과 다채로운 색감, 펑키한 음악이 가득한 한 판 쇼를 만드는 데 집중한다.

클라르크를 연기한 빌 스카르스고르드는 스웨덴의 배우 명문가 출신. 공포영화 ‘그것’에서 한 번 보면 잊히지지 않는 비주얼의 피에로를 연기했었다. 이 드라마에선 반항아 같은 매력과 악마적 말솜씨로 고약한 악당인데도 미워하기 힘든 실존 인물의 캐릭터를 설득력 있게 창조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