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우리 밭으로 가는 길가엔 여름마다 노란 원추리가 피었습니다. 그래서 한동안 야생화하면 떠오르는 꽃이 원추리였습니다. 짓궂기만 했던 그 시절에도 원추리는 한번도 꽃을 꺾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요즘 산은 물론 서울 도심 화단에서도 노란색 원추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원추리의 계절이 온 겁니다.

원추리. 낮에 피는 꽃이다. 꽃색이 노랑색이다.

이 꽃을 보면 2016년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한 소설 ‘채식주의자’도 떠오릅니다. 이 소설은 육식을 거부하다 나중에는 자신이 식물로 변해가는 것으로 생각하는 영혜 이야기입니다. 3부 연작 중 2부 ‘몽고 반점’에서 비디오 아티스트인 형부는 처제 영혜에게 비디오 작품 모델을 해달라고 부탁합니다. 허락을 받은 형부는 처제의 몸에 꽃을 그리기 시작합니다.

<그는 이번에는 노랑과 흰빛으로 그녀의 쇄골부터 가슴까지 커다란 꽃송이를 그렸다. 등 쪽이 밤의 꽃이었다면, 가슴 쪽은 찬란한 한낮의 꽃들이었다. 주황색 원추리는 오목한 배에 피어났고, 허벅지로는 크고 작은 황금빛 꽃잎들이 분분히 떨어져내렸다.>

이처럼 처제의 몸에 그린 꽃 중 하나로 원추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황색 원추리’라고 했으니 왕원추리를 그린 것 같습니다. 소설에서 특정 꽃이 의미를 갖는 것 같지는 않지만 원추리가 강한 인상을 남기는 것은 사실입니다.

근심 잊게 할만큼 예쁜 꽃, 원추리. 낮에 피는 원추리, 밤에 피는 노랑원추리, 주황색 왕원추리, 키가 작은 스텔라원추리 등이 있다.

원추리는 우리 산과 들에서 흔하게 자생하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줄기 없이 잎이 아래쪽에서부터 서로 포개져 부채살처럼 올라오면서 양쪽으로 퍼지고, 그 사이에서 긴 꽃대가 올라와 다시 여러 갈래로 갈라져 꽃송이를 매답니다.

꽃은 6월부터 시작해 8월까지 볼 수 있는데, 아름다운 꽃과 오랫동안 볼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그래서 요즘 도심 공원이나 길가 화단에서도 원추리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원추리도 종류가 많지만 4가지 정도만 기억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먼저 아침에 진한 노란색 꽃이 피었다가 저녁에 시드는 것이 그냥 원추리입니다(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그냥 원추리를 종에서 빼고 사람들이 흔히 원추리로 아는 종 이름(국명)을 백운산원추리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렇더라도 일반인들은 그냥 원추리로 불러도 무방할 것입니다).

다음으로 꽃이 저녁에 피었다가 다음날 아침에 지고 꽃색이 좀 연한 원추리도 있는데 대부분 노랑원추리입니다. 그러니까 노랑원추리는 박꽃·달맞이꽃처럼 밤에 피는 꽃입니다.

노랑원추리. 해질 무렵 피었다가 아침에 지는, 밤에 피는 꽃이다. 꽃색이 연한 노랑색이다.

도심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꽃이 좀 크고 주황색 꽃이 피는 왕원추리입니다. 왕원추리는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온 것인데, 한강시민공원 등 넓은 터에 대량으로 심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왕원추리는 꽃이 화려하지만 결실을 못해 덩이뿌리를 갈라 심어주는 방법으로 번식시키고 있습니다. 왕원추리의 겹꽃이 겹왕원추리입니다. 또 화단에 키가 20~30cm로 작은 재배종 스텔라원추리(왜성원추리, 사계절원추리)도 많이 심어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왕원추리. 꽃색이 주황색이다.
왕원추리 무리.
화단에 심어놓은 스텔라원추리(왜성원추리, 사계절원추리). 키가 작다.

원추리라는 이름 유래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중국 이름인 훤초(萱草)에서 왔다는 설이 가장 설득력있는 것 같습니다. ‘훤초’가 ‘원초’로 바뀌고 접미사 ‘리’가 붙으면서 ‘원추리’가 됐다는 것입니다. 민간에서는 꽃을 말려 몸에 지니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 득남초라는 별명도 있습니다. 이 속설은 원추리 꽃봉오리가 아기의 고추를 닮았기 때문에 생겼을 것입니다. 또 근심을 잊게 할 만큼 아름다운 꽃이라고 망우초(忘憂草)라고도 불렀습니다. 노란색 원추리를 만나면 꽃을 감상하면서 근심도 잊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