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엄마는 아기가 밥을 먹지 않고 오래 자도 걱정이 됩니다. 자는 아기는 몇 시간에 한 번 수유를 해야 하고, 생후 몇 개월 때부터 안 먹이고 통잠을 자도 괜찮을까요.
생후 1개월까지 신생아는 밤에 잘 때도 깨워서 모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아이의 몸무게가 잘 늘어나요. 간혹 아기가 몸이 안 좋거나 잘 먹지 못해 잠만 자는 경우가 있는데, 기운이 없어서 그럴 수 있어요. 따라서 직전 수유를 하고 4시간이 지나도 아기가 잠만 잔다면 깨워서 먹여야 합니다.
이렇게 직전 수유 후 4시간 이상 굶지 않게 하는 것만 주의한다면, 먹는 양과 시간은 아기가 정하도록 해 주는 것이 좋아요. 그래야 아기가 양껏 잘 먹고, 먹는 것 때문에 보채는 일이 줄어들게 돼요. 신생아 수유의 원칙은 아기가 배고파할 때 충분히 먹이는 거랍니다.
부모는 아기가 언제 배고파하는지 알기 어려워해요. 하지만 아기들은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내요. 잠에서 깨 갑자기 활발하게 움직이며 손이나 입술을 빨기도 하고, 고개를 돌리며 젖을 찾기도 하죠. 아기는 더 배가 고파지면 보채고 울게 돼요. 아기가 울기 전 신호를 눈치채고 수유를 하는 것이 좋아요. 울다가 먹게 되면 아기는 지쳐서 조금 먹고 잠들기 때문이에요.
또 아기는 배고플 때뿐 아니라 추울 때, 더울 때, 졸릴 때도 울어요. 이때마다 젖을 주면 너무 자주 먹게 되기 때문에 막상 수유를 했을 때 잘 먹지 않는 아기가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아기가 울기 전 배고픔의 신호를 보낼 때 먹이고, 수유마다 가능한 한 오래 먹이는 것이 좋아요. 아기는 힘차게 젖을 빨다가 배가 부르면 스스로 가슴에서 멀어져요. 충분히 먹은 거예요.
통상 이런 식으로 수유를 하다 보면, 신생아 시기의 아기는 주간 2~3시간마다, 야간 4시간 이내 간격의 수유를 하게 돼요. 즉, 하루 8~12번 밥을 먹게 되는 거죠.
출생 후 한 달이 지나고 아기 몸무게도 잘 늘어난다면 4시간 이상을 자도 굳이 깨워서 먹이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생후 2개월 아기가 별 탈 없이 건강하다면, 밤에 10시간을 안 먹고 자더라도 괜찮습니다.
백정현·우리아이들병원장·소아청소년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