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강원 원주시 백운아트홀에서 열린 제2회 강원특별자치도 도민의 날 기념식에서 신영재 홍천군수와 홍천군청 직원들이 용문~홍천 광역철도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조속한 착공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홍천군 제공

지난 11일 강원도 원주시 백운아트홀에서 열린 제2회 도민의 날 기념행사에서 김진태 강원지사는 “강원도는 교통 인프라와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리고 있다”면서 “도내에서 유일하게 철도노선이 없는 홍천의 용문~홍천 수도권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목표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용문~홍천 수도권 광역철도는 홍천군민의 오랜 숙원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이 염원은 100년을 넘는 시간 동안 이어져 왔다. 철도 유치의 첫 기록은 1920년 언론 보도로 확인되며 1937년에는 1만1000여명의 군민이 철도 유치를 촉구하는 진정서에 서명했다는 기사도 남아 있다.

이후 철도 논의는 세대를 거쳐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용문~홍천 수도권 광역철도 건설 사업은 지난 2007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한 차례 고배를 마신 뒤에도 철도 사업은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2021년에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 사업으로 포함되며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고 지난해 1월에는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또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도 포함되며 사업 추진의 실효성이 한층 높아졌다.

홍천군은 사업 실현을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성명을 발표하고 거리 캠페인을 벌이며 철도 유치를 향한 여론을 모으고 있다. 이 노선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확장에 그치지 않고, 지방 소멸과 수도권 과밀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사업으로 평가받는다.

사업의 타당성은 수치로도 뚜렷하게 입증된다. 지난 2023년부터 시행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지방 활력 지표로 도입된 생활인구 통계를 보면 지난해 3분기 홍천을 방문한 생활인구는 약 221만명에 달했다. 또 같은 해 9월 카드 사용 데이터를 보면 홍천군 등록 인구의 사용 비율은 42.8%에 그쳤지만 외지 체류 인구의 사용 비율은 57.2%를 기록했다. 이는 외부 방문객이 지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홍천에 철도가 개통되면 교통약자의 수도권 접근성이 개선되고 체류 인구의 정착 가능성도 높아진다.

홍천군은 2016년 ‘전원도시 귀농귀촌 특구’로 지정된 이후 2만여 명의 인구 유입을 이끌었고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특구의 지정 기한을 2028년까지 연장했다. 이는 홍천이 수도권 배후도시로서의 가능성과 지속적인 생활 인구 유입 기반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이러한 여건에서 철도 연결은 지역 성장의 필수 인프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홍천군은 교통망 개선에 더해 미래 산업 기반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023년 홍천군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기회발전특구’로 연이어 지정됐다. 이를 토대로 추진 중인 홍천 국가 항체 클러스터는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한 신성장 거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기업 유치와 인재 확보를 가능케 하려면 수도권과 직접 연결되는 안정적인 교통망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신영재 홍천군수는 “용문~홍천 수도권 광역철도는 100년에 걸친 군민의 염원이자, 현재 우리 세대가 책임져야 할 미래 세대를 위한 국가적 투자”라면서 “균형 발전과 수도권 분산, 산업 유치와 지역 생존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이 사업이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남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에 홍천군 모두가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