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기술원 연구원들이 효성화학의 폴리케톤이 적용된 제품을 들어보이고 있다. /효성 제공

효성이 스판덱스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 1위 제품을 보유할 수 있게 된 것은 원천 기술에 대한 집념을 바탕으로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한 결과다. 최근에는 수소를 비롯해 리사이클 섬유, 바이오 섬유 등 지속가능소재 사업과 신소재 분야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평소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제품을 통해 프리미엄 브랜드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효성은 ‘자체 개발한 원천 소재는 혁신 제품의 근간이며 경쟁력 창출의 핵심’이라는 철학을 가지고 1971년 국내 최초 민간기업 부설연구소인 효성 기술연구소를 설립했고, 1978년에는 중공업연구소도 세웠다. 기술연구소에선 섬유화학과 전자소재, 신소재 산업용 원사 분야의 R&D, 경남 창원시의 중공업연구소에서는 중전기기, 산업용 전기전자·미래 에너지 및 시스템 분야의 R&D를 각각 주도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효성티앤씨는 2019년 세계 최초로 제조공정상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을 재활용해 100% 리사이클 스판덱스를 상용화했다. 스판덱스는 ‘섬유의 반도체’라 불리는 신축성 있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섬유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2022년에는 세계 최초로 옥수수에서 추출한 원료를 가공해 만든 ‘리젠 바이오 스판덱스’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스판덱스의 원료부터 자연 친화적인 것으로 바꾸면서 화학적 에너지원의 사용을 줄인 것이 특징이다. 효성에 따르면 기존 스판덱스와 비교하면 리젠 바이오 스판덱스 1t(톤)을 쓸 때마다 소나무 378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양만큼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효성티앤씨는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생분해섬유 등 차세대 지속가능 섬유도 개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수소 인프라 사업에 진출했다. 오랜 기간 쌓아 온 회전기와 압축기 등 기술력이 기반이 됐다. 수소충전소 생산·조립·건립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 글로벌 화학기업 린데와 협력해 울산시 효성화학 용연공장 부지에 단일 규모 세계 최대인 액화수소 플랜트를 짓고 있다. 액화수소 플랜트 완공 시기에 맞춰 대형 상용차용 액화수소 충전소 30곳도 세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