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구청장 이수희)가 33번째 한강 횡단교량의 명칭이 ‘고덕토평대교’로 결정된 것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강동구는 8일 입장문을 내고 “재심의 청구 등을 통해 ‘고덕대교’가 최종 명칭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8일 강동구에 따르면 이달 2일 열린 국토지리정보원의 제4차 국가지명위원회 심의에서 고속국도 제29호 세종~포천선 구간 내 한강횡단교량 명칭은 ‘고덕토평대교’로 결정됐다.
이번에 이름이 결정된 ‘고덕토평대교’는 강동구 고덕동과 구리시 토평동 간 1.73㎞를 연결하는 한강 교량이다. 두 도시를 연결하는 다리인 만큼 서울 강동구와 경기 구리시가 대교 명칭을 두고 팽팽한 견해차를 보여왔다.
강동구는 공사 시행 초기부터 건설 사업상 명칭을 ‘고덕대교’로 사용해온 점 등을 들어 해당 교량을 ‘고덕대교’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반대로 구리시는 다리가 설치되는 한강의 약 87%가 행정구역 상 구리시에 속한다며 ‘구리대교’로 이름 지어야 한다고 맞서왔다.
강동구는 그간 ‘고덕대교’라는 명칭을 사수하기 위해 행정역량을 집중해왔다. 이수희 강동구청장은 지난 7월 제3차 국가지명위원회에 참석해 고덕대교 명칭 제정을 직접 설명하는 등 고덕대교의 당위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공사 시행 초기부터 건설 사업상 명칭을 ‘고덕대교’로 사용해 온 점 △공사 현장이 도심지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공사 기간 주민 피해와 불편을 감내하며 적극 협조한 점 △서울시와 강동구민이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 사업 관련 한국도로공사에 광역교통개선대책분담금 531억원을 납부하며 국가 시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온 점 등을 주요 근거로 내세웠다.
그러나 심의결과가 보류로 결정 나자 같은 달27일 국토지리정보원에 방문해 항의하고, 지난달에 재차 방문해 ‘고덕대교’의 심의대상 포함을 요청하는 등 구의 입장을 적극 표명해 왔다.
이수희 강동구청장은 “지명업무편람의 ‘지명 표준화’의 원칙에 부합하는 지명은 명백히 고덕대교임에도, 지역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명은 배제한다는 지명업무편람 상의 ‘지명 제정의 절차’에 매몰돼 고덕토평대교로 결정한 것에 강력히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마지막까지 고덕대교 명칭 제정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