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은 통증이 없으며 눈에 보이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그 고통을 남들에게 온전히 이해 받기란 어렵다. 그래서 난청이 있는 사람을 ‘함께 있지만 섬처럼 외로운 사람’이라고 표현하는지도 모르겠다. 사람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보니 군중 속 고립감은 물론, 심화된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을 수 있는 것이 난청이다.
◇개인 청력·환경에 맞는 보청기 선정 필요해
문제는 어렵사리 보청기 착용을 시도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다. 결과적으로 보청기 착용을 포기하는 사례도 많은데 국내 조사에 의하면 난청 인구 중 보청기 구매 비율은 17.4%이며 이 중 꾸준히 보청기를 사용하는 비율은 12.6%에 불과하다. 이들이 꼽는 불편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소리의 울림과 소리의 날카로움, 에코 현상과 소리 지연 현상으로 인한 말소리 명료도 저하다.
보청기 선진국인 덴마크 디만트그룹의 OITA(Oticon International Training Academy) 멤버로 활동한 20년 경력의 김광재 히어링허브 전문청능사는 이러한 불편의 원인으로 단조로운 피팅 시스템과 그로 인한 한계를 지적했다. 미국이나 유럽은 보청기를 청각 케어를 위한 개념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제품보다는 청능사의 자질이나 청각센터의 피팅 시설에 집중하는 반면, 국내는 보청기를 단순 기기로만 인식, 판매의 개념과 가격 정책으로만 접근하는 경향이 더욱 크다. 그러나 보청기는 단순 기기기 아닌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의료기기다. 만족도 높은 보청기 사용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피팅과 관리가 필수다.
◇보청기 착용 후 주기적 검사 이뤄져야
최근 출시된 인공지능(AI) 보청기는 외부 소리를 더 많이 집음하고 연산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착용환경을 분석하고 최적화 하는 만큼 불편함을 느끼는 소음과 말소리를 구분해 오랜 기간 착용할수록 더욱 편안한 듣기를 제공한다.
AI 기술을 이용해 말소리 인지도가 떨어지는 청력은 뇌 작동 원리를 모방한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기술, 착용자의 움직임과 환경을 분석해 8가지 프로그램(말소리 환경, 소음 속 말소리환경, 에코환경, 운전환경, 음악환경 등)적용으로 청취환경에 적합한 소리를 들려주는 기술, 소음환경에서도 깨끗한 어음을 듣는 강력한 방향성 기술, 10㎑까지 증폭해 주는 광대역기술,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모방해 1초에 2만2000번 프로세싱으로 까다로운 청취 환경에서도 잡음을 최소화하는 기술 등을 탑재하고 있어, 어음 변별력이 낮거나 자음 정보 손실로 소음 속 대화 청취가 어려운 경우라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영어권 국가에서 개발한 보청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피팅 공식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난청인에게 맞춰져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위주로 설정돼 있다. 이에 국내의 경우 제조사에서 개발한 보청기 적합 공식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순음검사, 어음변별검사, 불쾌역치검사, 가상음향환경에서의 피팅 등 한국어음 특성을 고려한 피팅이 실시돼야 한다.
청각장애 등급을 소지하고 있다면, 출시가 조금 지난 구형 제품에 한해 보청기 구입 시 최대 약 118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최신 보청기의 가격은 200~800만 원으로 성능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매월 진행하는 특가 행사를 적용받으면 실 구입비용은 한 측 기준 120~270만 원으로 구입 가능하다. 히어링허브 서초 본점 전화(02-593-3008)나 홈페이지(hearinghub.co.kr)를 통해 자세한 문의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