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보일러와 같다. 심장에서 보낸 따뜻한 피가 혈관을 타고 온몸에 퍼져 체온을 유지해서다. 배관 길이가 길수록 덜 따뜻한 것처럼 심장과 거리가 먼 손과 발에 냉기가 돌기 쉽다. 몸이 차가우면 몸에 얼음덩어리 같은 냉적이 생기며, 이는 위에서 소화불량, 간에서 만성피로, 신장에서는 요통을 유발한다.

우리 몸은 심장에서 보낸 피가 혈관을 타고 퍼지는 덕분에 체온을 유지한다. 하지만 심장과 먼 손과 발에는 냉기가 돌기 쉽다. 자칫 소화불량, 만성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영양제는 없다. 답은 옻과 천마에 있다. ①천마 : 동의보감에선 풍으로 생긴 저린 증상과 어지럼증, 중풍으로 말이 어눌한 것을 치료하며 허리와 무릎을 부드럽게 한다'고 적혔다. ②유황오리 : 천마와 음식 궁합이 좋아 진액으로 제조해 섭취하면 좋다. /클립아트코리아·셔터스톡·게티이미지뱅크

◇참옻 껍질의 우루시올, 곰 쓸개 성분과 99% 일치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영양제는 없다. 답은 옻에 있다. 옻은 뭉친 피를 풀어주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위와 장을 편하게 한다. 어혈제거, 구충 및 위장질환의 민간요법으로도 활용된 옻은 국가차원에서 그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졌다. 1997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참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올의 MU2 성분이 시판 항암제보다 항암효과가 3.4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우루시올은 참옻나무 껍질 주위에서 채취되는 성분으로, 곰의 쓸개 성분과 99% 일치한다. 2005년 발효식품 엑스포에서는 옻의 독성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약성물질은 고스란히 살린 천연발효공법이 소개됐다.

◇위암 세포 억제하고 지방간 개선

나이 들수록 위산의 질은 떨어져 영양소를 잘 흡수하지 못한다. 조금 먹어도 더부룩하고 어지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다. 참옻은 더부룩한 속을 편하게 해준다. 참옻추출물은 위암 세포 생장과 염증 유발인자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은 심장, 위, 장과 직결된다. 이런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간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간은 24시간 쉴 새 없이 우리 몸의 독소를 해독하고 세균 침입을 막는다. 필수 영양소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간의 기능이다.

간 기능이 떨어지면 혈당 조절이 어렵거나 혈관 건강이 나빠질 수 있다. 참옻은 간을 보호하고 해독작용을 돕는다. 발효참옻 추출물로 실험한 결과,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해 지방간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은 간세포가 서서히 파괴돼 반 이상 기능이 저하돼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평소 그 기능을 잘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중풍 특효 약재 천마, 치매 치료 연구 활발

천마도 냉증을 치료하고 혈액순환에 탁월한 약재로 꼽힌다. 동의보감에서는 풍으로 생긴 저린 증상과 어지럼증, 중풍으로 말이 어눌한 것을 치료하며 허리와 무릎을 부드럽게 한다고 적혔다.

치매 치료를 위한 연구도 활발하다. 천마의 주성분인 게스트로딘은 혈뇌장벽을 통과해 뇌혈관에 쌓인 독소를 제거하고 뇌신경을 보호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천마는 공간 학습 능력 및 기억 측정 결과 뇌 손상을 회복시켰다. 기억력 개선과 항산화 효과도 보고됐다.

김순렬 한의학 박사는 “천마는 간 기능을 회복시키고 혈액 순환을 개선해 중풍, 고혈압, 뇌졸중, 치매에 최고의 약재로 꼽힌다”라며 “참옻은 한의학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는 약재로 보혈과 항염 작용을 배가 시켜 위와 간을 보호하고 몸 속의 독소와 나쁜 피를 제거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