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부민은 간에서 생성돼 위와 장에서 분해된 각종 영양소를 신체 곳곳으로 배달한다. 혈액을 통해 이동하는 알부민은 알코올과 약물 등 독성 물질들을 흡착해 간으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알부민이 제 역할을 못 하면 노폐물 배출이나 독소 해독이 안 돼 무력감이 들 정도로 피로하고 소화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혈중 알부민 수치는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대표 지표다. 나이 들수록 알부민은 감소하는데 혈중 알부민이 낮은 고령자는 유병률·사망률·장해율 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나이 들어 기력이 쇠하거나 특별히 아픈 곳이 없는데도 천근만근 몸이 피곤할 때면 간 기능 검사를 통해 알부민 주사를 맞곤 했다. 하지만 그 원료인 혈액 공급의 어려움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했다. 동국제약은 2000년대 초반,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인체 혈청 알부민 제품 개발에 나섰고 제조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를 취득했다.

◇알부민 제 기능 못하면 독소 해독 못하고 혈당 높여

간에서 생성된 알부민은 위와 장에서 분해된 각종 영양소를 우리 몸 전체로 배달한다. 알부민이 영양소만 몰고 다니는 건 아니다. 혈액을 통해 이동하는 알부민은 알코올과 약물 등 독성 물질들을 흡착해 간으로 이동시킨다. 간은 이렇게 이동된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데, 알부민이 제 역할을 못 하면 노폐물 배출이나 독소 해독이 안 돼 무력감이 들 정도로 피로하고 소화 장애가 나타나며 때론 얼굴색이 누렇게 변하기도 한다. 신체 균형이 무너지면 삶의 활력이 떨어지고 노화가 빨라지며, 면역력이 저하돼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알부민은 전분의 소화 흡수를 늦춰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혈액 농도를 유지해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알부민 부족하면 몸 붓고 근육 줄어

알부민이 부족하면 밑 빠진 독에서 물이 새듯 오줌과 함께 영양소가 배출된다. 신장에 문제가 생기면 단백질을 거르는 능력이 떨어져 소변으로 알부민이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혈관 안에 있어야 할 여러 체액이 유출되면서 몸이 붓게 된다. 신장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고 향후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하거나 사망률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 고혈압, 부종 등 이상 징후가 있다면 알부민을 채워야 한다.

알부민 부족은 필요한 영양소가 제때 이동하지 못해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뼈를 구성하는 무기질인 칼슘도 그 영양소 중 하나다. 혈청 알부민이 감소하면 칼슘이 부족해져 골다공증 위험이 커진다.

알부민은 신경보호 효과가 있어 뇌경색을 예방한다. 아주대학교가 뇌경색 환자 49명을 대조군과 알부민군으로 나눠 시험한 결과, 3일 후 알부민군의 경색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NIHSS(미국국립보건원의 뇌졸중 척도) 점수도 대조군보다 낮았다.

이처럼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알부민은 최근 고가의 알부민 주사를 대신해 알부민이 떨어지지 않게 유지해 주는, 먹기 편하고 흡수 빠른 마시는 알부민 제품이 인기다. 제품을 고를 땐 오랜 연구와 기술 개발로 그 결과가 증명된 제품을 골라야 한다. 또한 알부민과 함께 첨가된 원료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L-아르기닌은 몸속에서 생기는 암모니아의 독성을 없애며, L-아스파트산은 단백질 합성과 간 기능 개선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