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주세요! 달고나 커피 마시기를 멈출 수 없어요.”

지난 24일 스웨덴 최대 일간지 다겐스니 헤테에 난 기사 제목이다. 이 신문 문화부 기자인 그레타 투르피엘은 직접 이 커피를 만들어 마셔보곤 “한국에서 온 이 최신 트렌드 커피는 격리에 적합하다”며 “다른 즐거움이 없을 때, 카페인은 유혹적인 약이 된다, 만약 카페인이 맞지 않더라도 이 커피는 또 다른 재미를 준다”고 말했다.

스웨덴 언론에 난 달고나 커피

코로나 사태로 인한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한국의 달고나 커피가 ‘격리 커피’라는 이름으로 또 하나의 한류를 만들고 있다. K집콕놀이, K푸드로 불리는 달고나 커피는 인스턴트 커피에 설탕과 뜨거운 물을 붓고 400번 이상을 휘저어서 만드는 커피. 소셜미디어 용으로 사진 찍기도 예쁘고, 수백번 젓다 보면 시간 보내기 좋을 뿐 아니라, 맛도 달달해 코로나 블루(우울증)을 잊게 해준다며 국내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끄는 것이다.

현재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달고나커피’ 게시물 수는 39만2000개. 유튜브 관련 콘텐츠 조회 수, 구글 검색량도 네 자리 수 단위로 증가했다.

워싱턴포스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해외 언론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LA타임스는 “운동한다는 기분으로 달고나 커피를 만들어 보라”고 했다. 잡지 보그 러시아판은 “토피(끈적한 캐러맬 과자) 같은 한국 길거리 과자의 이름을 딴 커피”라고 유래를 설명했다. 달고나 커피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것에는 방탄소년단(BTS), 엑소의 세훈, 수퍼주니어의 규현, 강다니엘, 트와이스 등 K팝 가수들이 직접 만들어 동영상 소셜미디어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등에 올린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원래 레시피는 인스턴트 가루 커피를 사용하지만, 이를 구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에스프레소를 이용해 만들었다는 후기들도 많다. 손으로 젓는 게 정석이지만, 전동거품기를 구입하는 사람이 늘어나 일부 전자제품 매장에서는 매진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직접 만들어 먹고 난 외국인들은 “그리스 커피 프라페와 같다”, “쿠바·아르헨티나·리비아에서는 늘 마시던 것이다” 등의 반응도 나온다. 사실 한국에서 유행하게 된 그 시작도 배우 정일우가 마카오의 한 식당에 갔다 비슷한 메뉴를 마시면서부터다. 전 세계 다양한 이름으로 존재하는 이 커피가 코로나 사태로 ‘달고나 커피’라는 새 이름을 갖게 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