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진 후보는 8일 '세월호 텐트' 발언 논란 직후 "세월호 유족의 아픔을 우롱한 '텐트 속 진실'이 밝혀진다면 나는 죽어도 좋다"고 말했다. 지난 6일 녹화해 이날 방송된 토론회에서 그는 "세월호 자원봉사자와 세월호 유가족이 텐트 안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문란한 행위를 했다는 기사를 이미 알고 있다"고 했다.
차 후보는 "과거 내 발언으로 마음이 상한 세월호 유가족에게 사과드리며 내 거친 표현도 반성하고 있다"면서도 "토론회 발언의 진의는 유가족이 아니라 신성한 세월호 텐트 안에서 입에 담기 어려운 일을 벌인 추문에 연루된 사람들과 이를 이용해 권력을 잡은 사람들(에 대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가 언급한 보도는 '뉴스플러스'라는 인터넷 매체의 기사"라고 했다.
해당 기사는 2018년 5월 10일 자로 "세월호 참사 이후 광화문광장에 차려진 세월호광장 분향소 옆 텐트에서 세월호 유족들과 자원봉사 여성 사이에 부적절한 관계가 있었는데 대책위 집행부가 인지하고도 덮었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해당 여성은 통화에서 사실을 인정했다가 이후 문자를 보내 먼저 얘기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진상 조사를 담당한 활동가는 '말하고 싶지 않다'며 구체적인 대답을 피했다" 등의 내용도 있다.
하지만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는 이를 전면 부인했다. 협의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이 사안이 본질적으로 유가족의 사생활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왔고 공식 입장을 자제해 왔지만 이제는 가만히 있지 않겠다"며 "끝까지 가해자들을 추적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고 공동체를 파괴하는 가해자들의 행위를 낱낱이 밝힐 것"이라고 했다. "유가족들은 일부 정치권과 혐오 모독 세력들에 의해 깊은 상처를 받고 있다"고도 했다. 법률대리인을 맡은 류하경 변호사는 "차 후보가 언급한 '세월호 텐트' 관련 주장은 허위 사실이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통합당 안팎에선 "논란을 빚은 차 후보의 지난해 페이스북 발언과 해당 기사에 언급되는 내용은 별 관련성이 안 보인다"며 "엉뚱한 기사 내용으로 설화를 자초한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