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 있는 '흑돈가'는 '종방연' 장소로 유명한 식당이다. 최고 시청률 22%를 기록하며 인기몰이한 SBS 드라마 '열혈사제'도, 시청률 7%를 넘기지 못하고 지난달 16일 종영한 MBC 드라마 '더 뱅커'도 여기서 종방을 축하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 종방연은 축제가 된다. 배우와 제작진 150명이 모인 '열혈사제' 종방연에선 "시청률 20%를 달성하면 '눕방(누워서 하는 방송)'을 하겠다" 공약했던 이하늬가 식당 입구에 벌렁 드러누웠다.
종방연 대표 메뉴는 돼지고기. 인원 대비 가성비가 높다. SBS는 '열혈사제' 종방연을 위해 1인분(150g) 1만7000원 하는 돼지고기 300인분과 술값까지 약 700만원을 썼다. '깡패 신부' 김남길도, '악당 검사' 김형묵도 오겹살과 갈매기살 앞에서 하나가 됐다.
5억~20억원에 이르는 드라마 제작비에 비하면 종방연 비용은 크게 부담 없는 수준이다. 배우와 스태프들, 매니저와 스타일리스트 등 드라마에 기여한 모든 사람이 초대되는 자리다 보니 보통 200명, 사극은 300명 정도 모이는데 1인당 5만원으로 잡아도 최대 1000만~1500만원이면 해결된다.
드라마 종방연은 대부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다. 방송사들이 모인 상암동보다 교통편이 더 좋다. 여의도에서도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싸게 파는 곳' '200명이 넘게 들어갈 수 있는 곳' '단체 예약을 잘 받아주는 곳' 등 방송 관계자들의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한 '흑돈가' '목우촌가든' '은성회관' 등이 대표 맛집이다.
종방연과 달리 포상휴가는 시청률 '대박'을 친 드라마에만 주어지는 특권이다. 주연급 배우와 고참 제작진 50~100명 정도에게만 기회가 돌아간다. 1인당 비용은 100만~150만원선. 주로 선택하는 여행지는 베트남·필리핀·태국 등 여행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동남아 국가. 총 1억원 가까운 금액이 들어간다. 최고 시청률 49%를 넘긴 KBS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 제작진은 베트남으로 포상휴가를 갔고, SBS '열혈사제'팀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로 떠났다. 시청률 15%는 넘겨야 포상휴가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방송가 전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