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해 8일부터 가동한다고 7일 밝혔다.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3~5개 행정동 단위)으로 세분화해 각각의 목표와 실천전략(총 493개 목표, 1126개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간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도시관리를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5개 권역(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로 제시했다.
또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과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권역생활권은 각 자치구별로 서울시 평균 보급률보다 낮은 시설, 지역 생활권은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시설을 각각 우선 확충이 필요한 대상으로 선정했다. 3가지 조건은 지역 주민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시설과 보행 10분 거리, 800m 이내 시설이 없는 경우, 서울시 평균보다 보급률이 낮은 시설이다.
아울러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앞으로 서울시의 모든 관련·하위 계획(법정·행정·도시관리)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지구·구역, 기반시설, 도시개발사업, 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수립시 검토·심의 과정을 거치고 실행 과정 중에도 생활권 계획 반영 상황을 진단·평가해 반영할 계획이다.
생활권 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urban.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올 하반기 중에는 위치기반의 ‘생활권계획 홈페이지’를 오픈한다.시민 누구나 내가 사는 동네의 생활권계획을 지도에서 찾아보고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