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신생아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망한 신생아 4명 중 3명이 '그람 음성균'의 일종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사고 이튿날인 지난 17일 대응팀을 파견해 서울시와 함께 사망 환아 의무기록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현재 신생아 중환자실 환경 검체, 사망 환아 검체를 채취해 질병관리본부와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등 역학조사를 실시 중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사망한 신생아 3명이 사망 전 시행한 혈액배양검사 과정을 살펴본 결과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정확한 세균 균종은 오는 20일 이후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든 세균(박테리아)은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나뉜다. 그람(Gram)은 덴마크의 의사 한스 그람의 이름에서 따온 용어다. 한스 그람이 고안한 '그람 염색법'으로 세균을 염색하면 보라색으로 물들면 그람 양성균, 빨간색으로 물들면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된다.

살모넬라균, 이질균, 티푸스균, 대장균, 콜레라균 등이 그람 음성균에 포함된다. 그람 음성균은 면역력이 떨어진 중증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과 요로 감염 등의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철저한 감시와 처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