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치러진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극상’ 난이도로 꼽히는 수학영역 30번 문제를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한창이다. 네티즌들은 “수능 수학 30번 문항 푼 사람이 있느냐”는 푸념 섞인 글을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에 속속 올리고 있다. 현직 교사들 사이에서는 “수학 30번 문제는 푼 학생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일명 ‘킬러문항’이라 불리는 수리영역 30번 문제는 통상 ‘극악의 난이도’로 출제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실제로 EBS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6, 2017학년도 수능 수리가형 30번 문항은 각각 1.4%, 3% 대의 저조한 정답률을 보였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본지 인턴이 30번 문항을 직접 풀어봤다. 2018년 수리영역 가ㆍ나형의 시험지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아서 풀었다.
우선 두 개 중 쉬워보이는 나형 30번 문항. 문제를 보자마자 숨이 막혔다. 열 줄가량의 문제에 압도당한 채 x,n,k 등 여러 개의 알파벳들을 천천히 해독해나갔다. 완전히 이해하는 데만 삼십 분 이상이 걸렸다. 실제 시험장이었다면 그 해 시험은 낙방했을 것 같았다.
해당 문항은 수열의 극한과 적분을 활용한 문제였다. x의 범위에 따라 적당히 구간을 나눠 수열 an을 차분히 전개해나가니 규칙이 보였다. 계산은 매우 복잡했다. 수험생들이 이것을 시간 내에 풀 수 있었을까 하는 강한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
한 문제를 풀고나니 60분이 지나있었다. 수리영역에 주어진 시간은 100분이다. 이미 시간의 절반 가량은 써버린 셈이다.
부분적분을 활용해야 하는 가형 30번 문항은 보자마자 두통이 일어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가형 30번의 답은 21, 나형 30번의 답은 9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