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청와대 공식 만찬에서 독도새우가 오른 것에 대해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자신의 생각을 말했다.

8일 CBS 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황교익은 "음식 하나를 내놓는 것으로 정치적인 의사를 에둘러 표현했다는 점이 몹시 흥미롭다"고 평했다.

그는 "독도새우를 만찬에 올린 것은 '일본이 독도 영유권에 대해 더이상 왈가왈부하지 말았으면 한다'는 한국 정부의 의사 표현으로도 볼 수 있다"며 "대통령이 독도에 직접 가는 것보다 더욱 센스 있는 대응으로 다가온다"고 말했다. "정상들의 음식에는 아무래도 정치적인 이야기·이미지 등이 따라붙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황씨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을 거쳐서 왔기 때문에 독도새우가 더욱 부각되는 것"라고 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을 거치지 않고 한국으로 곧장 왔다면 독도새우가 지금처럼 일본의 주목을 끌지는 못했을 것이다"라고도 덧붙였다.

그는 "한국 정부가 국민들에게 '독도 문제 걱정 말라'고 보내는 사인인 동시에, 국제무대에서 공조를 이뤄낼 기반을 한국 정부가 갖고 있다는 점을 미국 대통령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이번 만찬의 의미를 해석했다.

이어 그는 "한국과 미국 대통령이 독도새우 맛있게 먹겠다는데, 발끈한 일본을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어 보인다"며 의견을 밝힌 그는 "한국 정부에서 '다음에 일본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면 그때도 독도새우를 내놓겠다'고 대응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일본 총리도 독도새우 참 맛있으니 한 번 드셔보라고 말해보는 건 어떨까"라고 소신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