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진도와 해남 사이에 있는 명량해협 수중발굴조사에서 고려청자와 토기, 돌포탄 등 유물 120점이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2일 지난 5월 시작한 명량해협 수중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했다. 명량해협에서는 2012년부터 올해까지 5차례에 걸쳐 조사가 진행됐으며, 발굴 유물 수는 모두 910여 점으로 늘었다.

왜병 물리친 조선수군의 돌탄환.

이번 5차 발굴조사에서는 돌을 둥글게 갈아 만든 지름 2.5cm의 조란탄이 처음으로 나왔다.

조란탄은 조선수군이 화약 20냥을 잰 지자총통으로 300발 가량을 한꺼번에 쐈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지점은 정유재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 함대 133척을 격파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4㎞ 떨어져 있다.

함선에 거치해 쓰는 석궁 형태의 자동화기 쇠뇌의 방아쇠에 해당하는 ‘노기’와 돌포탄 등 다른 전쟁유물도 함께 발견됐다. 12∼13세기에 만들어진 고려청자 잔과 유병(油甁·기름을 담는 병)도 함께 발견됐다.

명량해협에서 나온 고려시대 청자.

김병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명량해협 발굴을 내달 2일까지 한 뒤 조사 보고서 작성에 들어갈 것”이라며 “내년에는 장소를 바꿔 전남 영광 앞바다에서 수중발굴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