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증가한다는 걸 전제로 도시계획을 세우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독일·일본 등 선진국에선 이미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에 맞게 도시 기능을 축소·정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확대 일변도' 도시계획이 인구 감소 시대에는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이 깔렸다.
일본 정부는 이른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직장을 포함, 주거·상업·의료·복지 등 도시 필수 기능을 한곳에 모으는 것. 인구가 갈수록 줄면서 도시 외곽은 빈집이 속출하는데, 주거지마저 도심·외곽에 흩어져 있으면 거점마다 의료·교육·교통 시설을 만들어야 하고, 이에 따른 조성·운영 비용이 커지기 때문이다.
도야마(富山)현 도야마시는 2005년 기준 도심 밀집도가 일본 현청 소재지 중 최저(最低)였다. 인구는 2010년(42만2000명)을 정점으로 2045년에는 23% 줄어들 것이라고 추정된 상태. 그러자 시 정부는 2006년부터 도시 정비 기본 방침을 바꿔 학교·병원·관공서 등 주요 시설을 시 중심에 재배치했다. 공공시설 주변은 거주지로 재개발, 도심 인구 밀집도를 높였다. 이동수단으로 트램(노면 전차)을 설치했고, 다목적 광장과 로컬 푸드 매장도 만들었다. 도야마시 도심지 인구 비율은 2005년 28%에서 2014년 32%로 증가했다.
독일 통일 이후 급격하게 쇠퇴를 경험한 드레스덴시는 2000년 주택 공실률이 20%에 달했다. 이에 시는 '통합 도시 개발전략(INSEK)'을 수립, 6000여가구를 철거하고, 이 공터를 녹지나 1인 가구 주택을 위한 지역으로 재사용했다. 그 결과 도심 인구밀도가 상승했고, 경제 상황도 나아져 2013년 2만명 이상 새 일자리가 창출됐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도 인구 감소를 감안해 성장 중심 개발 계획이 아닌 작지만 차별화된 지역 발전을 꾀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