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오는 12일 귀국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참배하기로 했다. 또 귀국 후 사당동 자택까지 전철을 이용해 귀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귀국 때부터 ‘서민 행보’에 나서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 전 총장 측의 한 인사는 8일 언론 통화에서 “최대 국제기구의 수장인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임기를 모두 마치고 고국에 돌아와 선보이는 첫 공식 일정이라는 점에서 순국선열이 계신 곳을 찾는 게 맞다”고 했다.

다만 귀국 당일인 12일은 도착시간이 오후 5시 30분인만큼, 곧바로 동작구 사당동 자택으로 가서 여장을 풀고, 다음날인 13일 아침 현충원을 찾을 예정이다. 반 전 총장은 현충원 참배 이후 고향 충북 음성을 방문한 뒤 모친 신현순(92) 여사가 거주하는 충주를 방문해 귀향 인사를 하고 부친의 선영을 참배할 계획이다.

반 전 총장은 귀국 후 공항에서 ‘대통합’과 ‘대타협’을 주제로 그리 길지 않은 ‘귀국 메시지’를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 부인 유순택 여사와 함께 사당동 자택까지 공항철도와 지하철 4호선 환승 편으로 귀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서민적 행보로 부드럽고 친숙한 첫인상을 초반부터 구축하려는 의미”라고 했다.

공항 메시지에는 반 전 총장이 직·간접적으로 강조해 온 '대통합과 대타협'의 메시지가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첫날부터 직접적인 정치적 발언은 삼가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 분위기다.

반 전 총장의 캠프 사무실은 광화문에 마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광화문, 여의도, 강남권 등에 측근들의 소규모 사무실이 흩어져 있었지만, 최근 광화문광장 인근에 330㎡ 규모의 사무실 가계약을 마친 것으로 전해졌다.

여의도 대신 광화문에 캠프를 차리기로 한 것은 기존의 ‘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두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동시에 ‘촛불 민심’을 경청하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반 전 총장은 귀국 후 기존 정치세력과 직접적 연대를 모색하는 대신 당분간은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 진도 팽목항, 부산 유엔묘지, 경남 김해 봉하마을, 대구 서문시장 등 정치적 의미가 담긴 곳을 순회하면서 ‘대선 주자 행보’를 이어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