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효석 원장, 이충재 교수(충남 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이현재 교수(삼육대학교) 연구팀의 '편강탕 추출물'에 대한 연구 결과가 SCI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한방제재 추출물인 편강탕 추출물(이하 PGT)이 호흡기 염증성 객담의 과다분비 및 블레오마이신 유발성 폐섬유화증 완화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한방제재 추출물 'PGT' 큰 성과 거둬
연구팀은 흰쥐를 대상으로 2012년 3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9개월에 걸쳐 실험했다. 연구는 PGT가 호흡기 내 뮤신의 과다분비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생체 내 블레오마이신 유발성 폐섬유화증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PGT 추출물은 인동덩굴꽃, 맥문동, 사삼, 창이자, 권백, 숙지황으로 총 6가지 약재로, 천식 및 비염 등 호흡기 질환과 폐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한방제재 추출물이다.
또한 연구팀은 흰쥐를 블레오마이신과 이산화황, 두 집단으로 나눠 30마리의 각각 집단을 대조그룹과 실험그룹 등 총 6개 그룹으로 나눠 실험했다. 먼저, PGT를 블레오마이신 유발성 폐섬유화증 모델에 적용하기 위해 정상 쥐 집단과 블레오마이신 주입집단, 블레오마이신과 PGT를 같이 주입한 집단, 블레오마이신을 주입하고 덱사메타손을 함께 주입한 집단 등 총 6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 결과, 블레오마이신만 투여한 집단에서는 콜라겐 침전과 같은 섬유화 등의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감지됐다. 또한 여기에 PGT 및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제제)을 함께 투여한 그룹의 경우 섬유화증의 정도가 확실히 완화됐다. 또 다른 집단에서는 이산화황으로 유발된 점액의 과다분비에 PGT가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진행됐다. 먼저, 대조군으로 이산화황 노출집단과 이산화황 노출 및 PGT을 주입한 집단, 이산화황과 덱사메타손을 투입한 집단 등 6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 결과, 이산화황에 3주간 노출돼 있던 쥐는 뮤신의 과다분비를 보였는데 PGT가 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GT 785㎎/㎏을 투여한 집단은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집단에 비해 완화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충재 교수는 "연구를 통해 이산화황으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 등의 증상을 PGT가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최근 대기오염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이번 연구 결과는 더욱 의미가 있다"며 "또한 PGT가 블레오마이신으로 유발한 폐섬유화증을 완화한다는 결과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역시 고무적인 연구 성과이다. 다만 PGT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 것인지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사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