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모의고사와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됐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본부가 올해 수능이 6월 9월 모의평가 수준과 비슷하다고 발표했다.

수능검토위원장을 맡은 김영욱 서울시립대 국문과 교수는 17일 교육부 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2017학년도 수능 출제에 가장 신경쓴 부분 중 하나가 적정 난이도와 일관성을 유지한 것"이라면서 "6월, 9월 모의평가 수준과 유사하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능 수학의 난이도는 '수포자'들에게는 사실 관계가 없다. 문제가 어렵고 쉽고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수능 수학 포기자들은 '차라리 문제가 너무 어려워 분별력도 없었으면'을 바라는 '수포자'들도 많다.

수능 시즌을 맞아 네티즌들의 수포자용 수능 수학 팁도 속속 나왔다. 요약하자면 수능 수학 문제지 앞장 문제는 무조건 풀고, 속칭 '노가다' 형 문제에 공을 들이라는 것이다. 또 수능 수학의 주관식 답으로는 0, 1, -1, 12, 20 등이 자주 나온다는 주장도 나와 눈길을 끈다.

수능 수학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우리동생 힘내라~~(jun6****)", "긴장하지말고 열심히 문제 꼬박꼬박 풀고 좋은 대학 붙으세요(tnrl****)", "오빠 잘봐서 치킨먹자(kill****)", "물수능보다는 불수능이 낫다(hano****)", "너무 쉬워서 만점만 1등급인 사태만 아니면 난이도가 의미있니?(maji****)", "암욜맨 그대여 다라닷다 오늘도 난 오늘도 그대만 생각해(dong****)"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올해 수능은 이날 오전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고사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응시자는 지난해 보다 2만5200명 감소한 60만5987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