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은 자신과 나이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사람을 부를 때 남성에게는 ‘선생님’, 여성에게는 ‘언니’나 ‘여기요’라는 호칭을 주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우리 국민의 언어생활 실태를 파악하고자 성결대에 의뢰해 지난해 9∼10월 서울에 사는 10∼70대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5년 대도시 지역 사회 방언 조사'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자들이 자신과 동년배이거나 나이가 많은 남성을 부를 때 가장 선호하는 호칭은 ‘선생님(39.7%)’이었다.

이런 호칭 사용은 연령별·성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16∼25세는 '선생님'이란 호칭을 쓴다는 응답이 27.5%였지만, 26∼35세는 47.4%, 36∼45세는 51.5%, 46∼55세는 50.5%, 56∼65세는 43.5%로 나타났다.

반면 66세 이상은 '선생님(25.9%)’보다는 '아저씨(40.7%)’란 호칭을 더 많이 사용했다. '사장님'이라고 부른다는 응답도 18.5%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동년배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부를 때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비율이 44.6%로 컸지만, 여성은 '선생님'이 35.9%, '아저씨'가 29.4%로 양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자신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나이의 여성을 부를 때는 여성은 '언니', 남성은 '여기요·저기요'라는 호칭을 흔히 사용했다.

성별로는 남성은 '여기요·저기요(34.7%)’, '아가씨(26.9%)’, '이모(11.5%)’ 순이었던 반면, 여성은 '언니(48.8%)’가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어 '여기요·저기요(17.6%)’, '이모(12.9%)’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16∼25세는 '여기요·저기요'를 주로 사용(43.5%)하는 반면, 점차 나이가 올라가면서 '여기요·저기요', '아가씨', '언니' 등의 표현을 많이 사용했다.

66세 이상에서는 42.6%가 '언니'라고 부른다고 밝혔고, '여기요·저기요'라고 부르는 사람은 1명도 없었다.